본문

2012 한성백제박물관

본문

공원 같은 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이 위치한 대지는 원래 소나무가 심어진 작고 야트막한 둔덕이었다. 몽촌토성을 마주하고 선 그 둔덕은 올림픽공원에서 볼 때 둥글게 굴곡진 땅의 형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고 있었다. 게다가 정상이 주변보다 약13미터정도 높아서 그 위에 서면 북쪽으로 몽촌토성을 조망하기가 좋았다. 박물관을 짓기 위해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켜온 둔덕이 사라진다면 그것은 우리 모두를 위해 아쉬운 일이 될 것이었다.

박물관이 둔덕이 될 수 있다면? 박물관 건물을 자연지형 속에 묻어서 건물이 둔덕이 되고 공원이 되며 산책로가 된다면 이상적일 것이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는 백제의 토성을 생각했다.

 

백제의 토성-한성백제박물관의 설계 모티브

한성시대 백제는 역사가 500년이나 지속되었음에도 사비시대에 비해 우리에게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오로지 석촌동 고분군과 몽촌토성, 풍납토성이 1500년의 세월을 견뎌 그 실체를 전할 뿐이다. 그 중에서도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은 한성백제의 대표적 유적지로서 고구려가 한강 맞은편 아차산에 쌓은 아차산성이나 신라의 산성과는 확연히 다른 축조방식을 보여준다. 신라나 고구려의 것은 돌로 쌓은 석성인 반면 백제의 것은 흙을 한층한층 다져서 쌓아올린 토성이다. 토성의 단면을 보면 흙다짐 층이 수평으로 켜켜이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흙벽의 판축된 수평층위가 드러나는 토성은 다른 어떤 요소보다도 한성백제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건축적 모티브였다.

 

땅 속에서 발견하는 한성백제

우리는 박물관에 그 형태가 둔덕이 되기도 하고 토성이 되기도 하는 이중적 의미를 부여하기로 했다. 전시실을 토성 형태로 하여 대지에 있던 둔덕을 둥글게 둘러싸고, 둔덕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한 채 , 그 아래 땅 속 공간을 비워 박물관의 로비를 배치했다. 전시공간을 땅 속에 넣은 것은 건물이 둔덕처럼 자연스런 지형의 연장이 되도록 한 의도 외에도 한성백제의 실체가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땅 속에서 발견하는 백제라는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옛 백제의 땅을 바라보다

토성과 둔덕은 사람들이 오를 수 있어야 한다. 토성 형태의 전시실 지붕을 사람들이 산책하며 오를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계했다. 박물관 지붕을 따라 걷는 산책길은 올림픽공원의 산책로와 연결되어 공원의 일부가 되며 또한 새로운 토성의 성곽길이 되어 옛 백제의 땅을 의미있게 둘러 볼 수 있는 장소가 되도록 했다. 산책길의 끝지점은 원래 그 자리에 있던 둔덕과 같은 높이로서 전망데크가 되는데 거기에 서면 바로 건너편에 백제인들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진 몽촌토성이 마주 보인다.

 

박물관의 내부공간

박물관은 대지의 가장 낮은 쪽으로 진입한다. 토성형태의 전시실 아래로 진입하기 위해서인데 박물관 출입구는 두 개 층에 걸쳐 있다. 박물관에 이르는 접근로에서 땅의 형상대로 약간 위로 오르면 1층 전시관 로비와 닿고 약간 아래로 내려가면 지하 1층 교육공간에 닿는다. 1층에는 전시로비, 기념품상점, 기획전시실, 한성백제 이전 시대를 보여주는 상설전시실과 학예연구실이 있고 2층은 전체가 한성백제 역사를 보여주는 상설전시실로 쓰이며, 3층에 작은 휴게식당이 있다. 또한 지하1층에는 강의실과 도서실, 130석 공연장, 수장고와 주차장이 있으며 지하 2층에는 주차장과 기계전기실이 있다. 박물관 전체 연면적은 19,300m2 이 중 전시실이 2,780m2(20%), 수장고가 2,650m2(19%), 교육공간이 1,180m2(8%) 지하주차장이 5,230m2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중규모 박물관에 속한다.


풍납토성 단면 전사벽

박물관 내부공간의 주인공은 풍납토성 흙단면을 실제 전사한, 밑변 길이가 43미터, 윗변이 13미터, 높이 10.8미터의 벽이다. 그 거대한 벽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비공간을 지하부터 지상2층까지 개방했다. 전시실은 풍납토성의 전사벽을 중심에 두고 둥그렇게 둘러 싼 형태인데 역사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높이가 높아져서 마지막, 가장 높은 곳에 이르면 역사의 클라이막스, 한강을 중심으로 한 삼국의 패권다툼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끝을 맺는다. 전시를 다 본 후에는 박물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휴게식당에서 몽촌토성을 바라보면서 그 곳이 옛 백제인들이 말 타고 다니던 곳이라는 땅의 역사적 의미를 새삼 다시 새겨본다.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88-20 올림픽공원 내

지역지구 : 자연녹지지역

주요용도 : 문화및집회시설

대지면적 : 14,894.2

건축면적 : 2,904.96 

연면적 : 19,423.06

건폐율 : 19.5%

용적률 : 18.23%

규모 : 지하3층 지상2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설계담당 : 김용미

시공사 : ()포스코건설

건축주 : 서울특별시장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879_7758.jpg
전경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887_3802.jpg
정면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03_1687.jpg
로비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11_3278.jpg
로비 수직계단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19_2395.jpg
강당홀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47_0175.jpg
토성전사벽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57_5602.jpg
옥상오름계단



f0e4b9c683d43883a1af77e281e005ff_1634197968_4707.jpg
옥상정원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