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5 가까운교회
본문
현대 도시에서 상업주의로부터 안전한 성역은 사라진지 오래다. 학교, 병원은 물론 종교,공공영역도 예외는 아니다. 심지어는 상업주의가 생산한 자극은 도시민을 길들이고 욕망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도시에서 도시공간의 사용은 시민들의 권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공간이 자본에 의해 사유화되는 것은 도시프로그램의 부재와 공공성의 권리를 의식하지 않는 결과다. 과연 도시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도시 공동체를 이뤄낼 수 있는 도시프로그램과 건축적 시설의 변용은 없는 것일까. 도시의 수많은 종교시설이 그 대안은 될 수 없을까.
“가까운 교회”의 입지는 김포한강 신도시. 그 주변은 공룡의 비늘처럼 아파트가 즐비하다. 좁은 땅 덩어리 안에서 오만여세대가 둥지를 틀었으니 수직적 상황 또한 장관이다. 밀실하게 채워진 단지들, 아파트사이의 숨통을 찾아 유영하듯 돌아다니는 도로, 근린생활시설, 학교, 유치원은 잘 정비된 바둑판과 같다. 이러한 맥락은 신속하게 신도시를 생산하는 한국의 익숙한 개발방식이다. 집의 문패마저 건설사의 상호로 대치하는 이러한 현상 안에서 현실너머 세상과 소통하는 교회가 있다.
곡선으로 굽이치는 도로의 모서리 땅에 앉은 교회의 입지는 이분화된 파사드를 갖는다. 분절된 여러 겹의 불투명한 콘크리트 외피는 정기적인 기독교의식이 도로 쪽으로 적나라하게 보여주게 하지 않음으로써 겸손한 선교를 의도했다. 도로에 면한 수많은 아파트 거주인들의 생활이 예배로 인해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대신 체육공원 쪽으로 기독교의식의 포퍼먼스를 열어줌으로써 체육공원의 넓은 부지로 예배당을 확장함으로서 작은 규모의 예배당의 의식을 의미론적으로 더욱 경건하고 웅장하게 계획하였다.
예배당은 성가를 매개로하는 공간구성과 시스템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3개층을 연속으로 가로지르는 스텐드 구조의 예배당, 도로와 체육공원을 연결하는 열린 로비 공간, 주예배당의 배면경사를 이용한 소 예배당의 구성을 통해 넓지 않은 부지에서 개방감과 밀도 있는 공간구성을 의도했다. 이러한 예배를 위한 주요한 공간구성의 맥락들 사이에 커뮤니티 홀, 미팅룸, 어린 자녀와 함께하는 예배실, 유스채플 등이 접착제처럼 주요 공간과 밀접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특히 야외예배가 가능한 옥상공간은 교회 공동체의 모임은 물론 외부인에게도 열려있다. 더불어 주변 고층 아파트 거주자들을 공간 이동 없이 자연스럽게 기독의식의 관람객으로 끌어들인다.
가까운 교회는 상업주의에 숨 막혔던 아파트 공동체의 예배당이자 문화공간이며 공공성을 추구하는 건축이다. 지붕위에 올라앉아 뽀족하게 외치는 십자가를 여기서는 볼 수 없다. 오히려 벽에 기대어 낮은 소리로 말한다. 본래 큰 울림이란 그 감동을 말하는 자보다 듣는 자에게 있지 않던가. 그리고 숭고미란 높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좁힌 거리감에 있다. 땅에 내려앉은 십자가는 정자 목처럼 그늘을 드리우고 오가는 사람들과 생명의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
건축물주소 :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 1300-13번지
용도지역 : 제3종일반주거지역
주용도 : 종교시설
대지면적 : 929.3 ㎡
건축면적 : 464.43 ㎡
연면적 : 2,328.67 ㎡
건폐율 : 49.97 %
용적률 : 178.93 %
층수 : 지하 1층, 지상 7층
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설계담당 : 곽희수
시공사 : 예장건설(주)
건축주 : 대한예수교장로회 가까운교회
외국참여사 : -
심사평
- 이전글세종 힐스테이트 21.10.13
- 다음글삼성화재글로벌캠퍼스 연수원 21.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