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모부문 및 대상
우수 건축물, 건축설계, 건축관련 작품들을 발굴·시상하여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한 건축 관계자들의 창작의욕을 고취하기 위해「2023 한국건축문화대상」공모를 실시합니다.
건축물 부문
응모작품
2022년 6월 30일 이전 준공
(6.30일까지 사용승인 받은 것 또는 준공검사 완료된 것 포함) 건축물로 한국건축문화대상에 수상한 사실이 없는 작품
※ 단, 리모델링 건축물은 증축·개축·대수선에 한하여 응모할 수 있으며, 임시 사용승인 받은 건축물은 응모 불가함
※ 유지관리성, 사용성 등을 반영하기 위해 준공건축물 기준을 일정기간 이상 경과한 건축물로 함
응모자격
출품건축물의 건축물대장에 명시되어 있는 설계자, 시공자, 건축주
※ 공동설계의 경우, 공동설계자(외국인 포함)를 반드시 명기하여야 하며, 설계자 2인까지만 가능
학생 설계공모전 부문
응모작품
미발표 창작 작품으로서 당해연도 제시된 주제를 적용하여 지정된 대지(SITE)에 대한 계획작품을 대상으로 함
응모자격
대학(원) 및 전문대학의 재학생
※ 건축사자격 소지자 제외
※ 작가명의는 3인을 초과할 수 없으며, 1인당 1작품 참여로 제한
※ 전공학과 제한은 없으며, 타전공과 연계 가능
작품주제 및 설명
작품주제 : 미래 교통, 미래 건축
대지위치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 일원 ※ 커뮤니티 - 자료실 - "2023 학생설계공모전 자료 제공" 게시글 참조
요구사항 : 서울고속터미널 건물을 중심으로 한 리모델링 또는 신축 시나리오와 설계
“공모전 대상 대지는 현재의 모빌리티와 도시 건축을 대표하는 고속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이 장소는 그 자체가 건물이면서 동시에 도시 인프라이며, 현재까지도 서울과 전국을 연결하는 매우 역동적인 도시 내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2050년, 이 공간에서 벌어질 미래사회의 교통과 이를 수용하는 미래의 건축에 대한 흥미로운 시나리오들을 기대해 본다.”
2023 한국건축문화대상 학생설계공모전 큐레이터 김찬중

<참고> 2023 학생설계공모전 주제우리는 급격한 기술 변화의 시대에 살고있다.
기술특이점(Singularity)이라고 부르는 이 현상은 시간 대비 기술발전의 속도가 가파르게 증가함으로써 사회적, 문화적 적응 속도가 이를 적절히 수용하기
버거운 상황으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 환경의 비약적 발전과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로봇, 챗GPT와 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 속도는 심지어 두렵기까지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