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방법
준공건축물·신진건축사 부문
- 1차 포트폴리오 심사 : 현장심사 대상작 선정
- 2차 현장심사 : 작품현장 답사
- 3차 최종심사 : 입상작 선정
계획건축물 부문
- 1차 작품계획안 심사
- 2차 패널 및 모형 심사
- 3차 작품설명 PT 심사
- 4차 최종심사 : 입상작 선정
심사위원회 구성
준공건축물·신진건축사 부문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해 온 인사 가운데 한국건축문화대상의 취지를 이해하고 출품작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심사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전문가를 지역·성별·연령 등을 고려하여 심사위원 구성이 다양화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전문가를 추천하고 시행위원장 및 시행위원이 참여하여 심사위원회 구성
계획건축물 부문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해 온 인사 가운데 한국건축문화대상의 취지를 이해하고 출품작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심사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전문가를 지역·성별·연령 등을 고려하여 심사위원 구성이 다양화될 수 있도록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전문가(건축사)를 추천하여 심사위원회 구성
심사기준
준공건축물·신진건축사 부문
- 작품의 완성도 : 설계자·시공자·건축주가 협업으로 완성한 건축물의 필수적인 수준. 기능적 만족도와 시각적·미적 완성도 정도
- 공공성 : 모든 국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여한 정도
- 사회기여도 : 사회 전반의 경쟁력 제고 및 건축분야 발전에 기여한 정도
- 삶의 질 제고 :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미친 긍정적 영향의 정도
- 주변 환경과의 조화 : 주변 건물과 지역·환경과의 균형이 조화된 정도
- 국민참여 : 국민이 요구하는 시대적 사항을 반영한 호감도 정도
계획건축물 부문
- 주제 적합성 : 제시된 주제를 이해하고 건축적으로 해석한 정도
- 참신성 : 새로운 개념 제시 및 창의력 정도
- 완성도 : 건축적 현실 가능성 및 완성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