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7 다산동 문화공유주택

본문

도시에 사는 의미

도시에 산다는 것은 함께 산다는 것이고, 함께 산다는 것은 공존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 사회 구성원과 함께 사는 논리를 물리적 공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도시건축이다. 좋은 도시들은 집단 사유가 만드는 다양한 주거들로 이루어진 독특한 환경을 만들어 왔다. 시작에 불과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마을공동체 운동이나 사회교류형주거 등 다양한 주거 유형의 실험들이 시도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영역에서 복수의 해법을 통해 공유의 가치는 실현될 수 있다.

 

문화공유주택

이 집은 법적으로는 근린생활시설(사무실, 갤러리)과 단독주택으로 구성된 작은 주상복합건물이지만 실재적으로는 복합기능의 단독주택이다. 근대 시민사회 이후에 등장한 미술관이 생겨나기 전 주택이 갤러리와 게스트 룸 기능을 포함하고 있었던 것과 유사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조선시대 사대부가에서도 보여지는 유형이다.

이 집의 주인은 패션디자이너인 남편과 의류사업을 하는 부인으로 오래전부터 백남준과 앤디 워홀 등 동서양의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고유의 체계와 기준을 가지고 수집해 왔다. 이 작품들은 오랜 시간 창고에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건축주는 수집해온 작품들과 그 작품들을 담은 건축공간으로서의 집을 지어, 사업과 사회 활동을 통해서 알게 된 많은 지인들 즉, 문화공동체와 공유하기를 바랐다. 공유의 개념은 단순히 전시된 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고, 교류의 장소로서 공간을 공유 하는 것이다.

1,2층은 갤러리로서 모임의 장소이다. 3층 거실, 4층은 식당까지 위로 오를수록 사적영역의 성격이 짙어지지만 5층 침실을 제외하고는 개방된 공간이다. 2층과 3층에 위치하는 두 개의 게스트 룸은 외국 활동에서 돌아오는 피아노 연주자 등을 위한 공간이다. 별채인 한옥은 제사의 공간이며, 가족 친지를 위한 숙박공간이다.

 

내재된 기하학

우리의 삶은 불확정적이며,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속성을 가진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현상은 두려움으로 인식되어 이성을 통해 지배 받기를 원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근원적인 속성을 우리의 시설을 통해 복원되기를 희망한다. 초기 안에서 우리는 기하학과 구조원리가 혼합된 보다 명확한 질서 위에 다양하게 변주된 여러 층의 평면구성을 보였었다. 그것은 건축으로 완결된 공간에 대한 집착이거나, 지어진 이후 사용단계에서 벌어질 무질서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설계가 진행될수록 기하학적 질서는 구체적인 형상이 아닌 내재된 흔적으로 남고, 구성요소들도 지워져 비워지거나 단순한 벽체로 남았다. 건축주는 어느 위치에 어떤 작품이 전시될 것인지에 대해 일체 언급이 없었고, 우리도 묻지 않았다. 특정 작품에 대해 특별한 공간적 고려를 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건축은 계획된 활동과 예기치 못한 활동을 모두 할 수 있는 인프라라는 점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준공 후 건축주는 짧은 시간에 작품들의 설치를 마쳤다. 설계과정과 공사과정에 이미 구상을 마쳤고, 현장에서 조정의 여지만 남겨두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재료와 구축법

다산동 문화공유주택의 외장재료는 거창석 느낌에 가까운 중국산 화강석이다. 한옥의 목재와 함께 사용되는 재료로서 명확한 대비와 친근한 인상을 동시에 갖는다는 생각에서 적용하게 되었다. 석재는 판재형태로 철물에 매다는 공법 이전에는 조적 형태로 축조하는 방식에 의해 만들어 졌었다. 우리는 저층부 벽면의 일부를 30mm 두께의 판재를 눕히거나 세우는 방식의 격자 스크린 월을 만들었다. 이것은 조적조 벽의 깊이와 함께 가벼운 현대성을 상징한다. 또한 인장력과 전단력에 대응해 작은 모듈이기 때문에 가능한 가구식 구조법을 보여준다. 흔히 간과하는 석재에 내재된 물성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수평수직의 석재는 마치 장부 맞춤하듯이 시공했다.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17230-12

지구 : 도시지역, 2종 일반주거지역

용도 : 단독주택, 2종 근생시설(사무소)

대지면적 : 554.20

건축면적 : 196.63

연면적 : 1,240.23

건폐율 : 35.48%

용적율 : 136.7%

규모 : 지상5, 지하2

구조 : 철근콘크리트, 전통목구조(별채)

외부마감 : 화강석 잔다듬

설계담당 : 임기웅

시공사 : 씨앤오건설

건축주 : 서정기

사진 : 김용관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142_9403.jpg
전경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157_0024.jpg
입구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174_0707.jpg
1층 외부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186_2304.jpg
마당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198_3543.jpg
별채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208_5599.jpg
1층 갤러리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220_1712.jpg
2층 갤러리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232_69.jpg
4층 식당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245_0797.jpg
5층 침실



1c0833d4a843acbc48bed06227a82eff_1633586256_2976.jpg
지하층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