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1 [민간부문] 미우관

본문

미우관 - 아름다운 친구들의 집

아름다운 친구들의 집이란 의미의 연세대학교 미우관은 재미 동문들의 기부로 1972년 지어져 여학생 기숙사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용도가 바뀌어 평생교육원으로 사용하던 중 시설 개선과 증가 요구,

그리고 인접한 한국어어학원의 증설 필요성에 대응하고자 두 시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물로 신축을 결정하고 현상설계를 통해 설계자를 선정하였다.

 

장소의 기억 - 벚꽃 동산의 보존

미우관 부지에 조성된 벚꽃 동산은, 군락을 이룬 벚나무에 꽃이 만개하면, 한적한 캠퍼스 외곽을 환하게 빛나게 하는 곳이어서,

미우관 뿐만 아니라 이 일대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장소가 된 곳이다.

벚꽃동산을 보존하여 모두가 어려웠던 시절 모교를 생각했던 아름다운 친구들의 정성이 동산의 모습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하고, 오랜 시간 주변에 꽃과 그늘을 주어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장소로 기억 되었던 것이 사라지지 않게 했다. 건축 배치 원칙을 보존으로 정하고 그에 맞추어 계획을 하였다.

벚꽃동산이 건물 내부에서도 시각적 중심점이 되도록 라운지, 홀 같은 공용공간의 위치와 크기 등을 조절하였다. 나뭇잎에 부딪치고 걸러지는 햇살과 바람으로 전달되는 자연의 모습이 공용공간을 풍부하게 하길 기대한다.

 

2개 기관 입주 - 따로 또 같이

새 미우관은 평생교육원과 한국어어학원이 사용하게 된다, 주 이용자는 40대 이상의 일반인과 20대 초반 외국인이다. 밀접 접촉은 불편하다는 평생교육원의 요구에 두 개의 독립적인 진출입구와 홀 그리고 두 개의 코어가 계획되었다. 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해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면서도 열린 공간 계획으로 자연스러운 시야 교환은 이루어지도록 해 시간을 가지고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대강당 등이 있는 지하층 시설은 공동 사용공간으로 두 기관 사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동선을 구성했다.

 

컨텍스트의 수용 - 벽돌 사용과 경관 차경

부지 주변 어학원과 기숙사 건물들이 적벽돌로 지어져 있어 재료와 색채적인 컨텍스트를 만들어 내고 있다. 석재로 건물을 지어달라는 발주처를 설득해 적벽돌을 주재료로 사용했고, 주변 컨텍스트에 어우러 질 수 있었다.

적벽돌의 양괴감을 잘 표현하는 것이 적벽돌의 물성을 잘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해서, 매스의 구성과 개구부의 깊이와 크기 등을 조절해 적벽돌의 양괴감이 잘 표현되도록 했다.

주변 청송대의 훌륭한 자연경관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것이 그 어떤 재료보다 훌륭한 마감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연경관을 잘 끌어 들일 수 있도록 공용공간의 위치를 조정하고 차경 하는 자연의 크기를 소화 할 수 있는 내부 용적이 만들어 지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연대 동측 게이트 - 환영하는 제스쳐 조형

미우관 사이트는 이대 후문 버스 정류장과 바로 연결되어 보행자들의 게이트 역할을 하는 곳이어서, 학생들을 밝은 표정으로 따듯하게 맞아주는 배치와 형태가 필요한 곳이라 판단했다.

전면 마당을 만들어 맞아들이는 공간을 만들고 매스를 위압적이지 않게 구성해 환영하는 의미의 조형이 되도록 하였다.

표정있는 적벽돌 개구부와 더불 스킨의 입면 구성이 사용자들에게 친근한 느낌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신축이어서 조금은 낯설은 현재의 미우관이 연대 캠퍼스 동측 건물군의 일원으로 주변과 어우러져 가면서 캠퍼스 내에서 숙성되어 가길 기대한다.



---

대지위치 :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용도지역 : 도시지역, 1종일반주거지역

주요용도 : 교육연구시설

대지면적 : 37,362.4

건축면적 : 1,497.978

연 면 적 : 16,252.66

건 폐 율 : 4.009 %

용 적 률 : 28.843 %

규    모 : 지하 2/ 지상 10

구    조 : (철근)콘크리트

설 계 자 : 민 / 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시 공 사 : 금호산업

건 축 주 :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사진작가 : 박영채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19426_9117.jpg
전경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19459_6814.jpg
동측 선큰 출입구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19478_9479.jpg
벚꽃 동산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19488_9696.jpg
북카페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19497_3624.jpg
선큰가든

심사평

대학 캠퍼스는 많은 세대의 기억이 적층되어 가는 장소다. 구석구석 기억들이 쌓여간다. 기숙사와 미래교육원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던 미우학사의 기억을 간직한 자리에 평생교육원과 한국어어학원을 담는 미우관이 새롭게 자리잡았다. 하지만 새 건물은 과거의 기억을 지우려 노력하지 않았다. 다른 크기, 다른 용도를 가졌지만 오히려 적극적으로 과거의 기억과 소통하려 노력하였다. 상대적으로 기능적으로 풀어내질 수밖에 없었을 강의실 층들에서는 아쉬움이 남지만, 그 이외의 공용부분들 구석구석에서 땅이 가진 과거를 향한 시각적, 물리적 연결을 만들어낸다. 열어줄 곳은 열어주고, 이어줄 곳은 이어내는 노력들이, 닫힌 곳에 쓰인 벽돌이라는 재료와 그를 더 깊고 두텁게 보이게 하려 연구해 낸 디테일들에서 더 강조되어 드러난다. 과거의 기억과 소통하려는 자세는 캠퍼스 바깥까지 이어진 듯하다. 미우관 주변의 외부 건물들과는 담장 없이, 혹은 낮은 담장들만으로 느슨하게 구분되어 있어 시각적인 구획 또한 강하지 않다. 미우관의 재료 사용은 이런 상황에서 캠퍼스 바깥의 건물들과도 이질감 없이 어우러진다. 과거와 현재, 나와 주변을 배려하는 건축의 기본적인 자세들만 깊고 진지한 자세로 견지해나가도 충분히 좋은 결과물이 나온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신현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