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2 남산동 주민공동시설
본문
경계에서의 건축과 투박한 비움.
주민공동시설이 들어선 동네는 평림천이 평야지대를 적시며 황룡강과 합류하는 작은 마을이다. 집들은 풍화되고 가로수는 그 세월을 기억하는 듯 높게 솟아 자연스럽게 어울려 마을의 배경이 되었다. 주변의 개발과 다르게 마을은 느리게 변화하였고 어쩌면 우리는 그 모습을 지키고 싶었는지 모른다.
집터 주변은 너른 평야가 사철의 계절을 물들이고 자연을 그대로 받아줄 건축은 단순할 필요가 있었다. 건축으로 채우기보다는 최소한의 건축이 필요하였으며 외부 공간의 구획으로 주변 자연을 마당으로 끌어들이는데 이유가 있다.
시골 마을과 새로운 것.
: 다양한 질감
콘크리트라는 단순한 재료로 마을의 배경이 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표면의 다양한 가공은 해의 고도와 계절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보여준다. 인접한 오래된 박공지붕의 창고는 계획된 담장을 치맛단 삼은 신, 구가 그리 어색하지 않다. 외부 시선이 차단될 높이의 치핑 담장 안마당은 공간에 집중하게 하는 효과를 주었으며 전통건축의 살림집과 같이 따스하다. 본동 뒤 후정의 수선한 오래된 담장 뒤 낮은 처마선과 문양거푸집의 담장이 공간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우리는 건축물의 다양한 재료가 오래된 마을을 혼탁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건축 구축을 위한 재료는 단순하되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구획과 경계
:마을, 담장, 마당
남산동 주민공동시설은 마을의 노인당이 있던 자리에 주민을 위한 시설로 건축되었으며, 주민을 위한 시설과 정체된 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수익사업이 가능한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건축은 구획된 담장과 건축물간 배치로 다양한 외부공간의 형성이 가능했다.
도로변에 접한 부속동과 본동은 주변의 평야에 유연하며, 담장 위 얹힌 콘크리트 캐노피는 진출입구의 경계임을 알려준다. 우리는 도심지 건축의 경계만을 표시하려는 수단으로 전락한 담장이 회귀하여 건축물을 감싸며 외부와 선을 긋는 한국전통건축의 담장을 다시 구현해 보고자 한다.
---
대지위치: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산동 63-3
용도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주요용도: 근린생활시설(휴게음식점)
대지면적: 470.00 ㎡
건축면적: 142.20 ㎡
연 면 적: 227.00 ㎡
건 폐 율: 30.25 %
용 적 율: 48.30 %
규 모: 지상2층
구 조: 철근콘크리트
설 계 자: 조경빈,
시 공 자: 김태섭,정대모
건 축 주: 본량발전위원회
사진작가: 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