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1 대학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도심 순환체 가로공간 계획

본문

오늘날의 대학은 Universitas라 불리는 중세의 르네상스 운동에 의해 시민들의 요구로 성립된 길드 조직이 시초였다. 당시의 대학은 성향과 생각이 맞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공공의 공간에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모든 지역으로 부터 학생이 받아들여지는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시를 중심으로 발생되고 도시 내의 시설이었.

하지만 현대사회에서의 대학은 대학의 규모가 커지고 기능이 특화됨에 따라서 도시 안에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도시에 포함된 사회집단이 아닌 대학자체의 독립적 사회집단을 형성하면서 도시와의 경계선을 만들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대학생활을 위한 보조적 역할, 즉 학술, 문화, 여가, 구매, 휴식, 오락의 기능을 수행하는 거리문화였던 대학 가로공간이 상권 위주의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대학가를 더욱 고립시키고 지역사회와의 문화적 기능적 소통을 단절시키고 있다.

대학이 다시금 도시와의 경계를 허물고 보다 적극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대학문화와 기능, 도시문화와 기능이 Convergency 되어 새롭게 대학도시 문화/기능으로서 창출되어 흐르는 대학 가로공간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Convergency의 대상지는 봉담읍으로 화성 시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6개의 대학(수원대-수원과학대,장안대,협성대,한국농업대,수원여대, 카톨릭대)이 소재하고 있다. 그리고 교통의 거점지이고 가장 규모가 큰 수원대학교를 봉담읍의 대표 대학으로 정하고 전체적인 봉담읍의 대학혁신도시 Master Plane과 세부적인 수원대학교 가로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를 통한 지역주민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봉담읍의 Master plan은 대학들 간의 기능의 Link를 통한 통합 대학혁신도시의 생성이다. 기능들이 융합되고 새롭게 재해석 되어 3가지의 기능적 특성을 갖는 대학문화벨트를 형성한다. 교육-체험-레져형 대학벨트(수원대-수원과학대-한국농업대), BINT(IT,BT,NT)-벤처산업형 대학벨트(수원대-장안대-협성대), 연구단지형 대학벨트(수원여대-카톨릭대-수원과학대)의 특성이 생겨나고 도시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Community Hub(대학과 도시가 Communication을 나누는 대화와 소통의 장), Cooperation Network(대학과 도시의 개방적 Network를 통한 교류와 협력의 장으로서의 공간), Edutainment Park(도시 안으로 확산된 캠퍼스 시설들을 통한 교육/ 여가/ 복지/ 문화체험의 장이되는 교육문화 공간), Green Heart(주변의 자연과 생태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담은 도심 속 녹색심장으로서의 공간), Circulation body(대학과 도시를 소통시키고 대학 아카데믹 문화와 도시상업문화를 Link 시켜 학생과 지역주민의 Life Style의 공존), Festival(대학축제의 중심공간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도시의 축제의 장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대학 주도형 도시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세부계획으로서 수원대 가로공간은 수원대학교 주축의 교육군집, 벤처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군집, 와우리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주거군집과 상업군집의 4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로공간을 중심으로 퍼져 나가는 도로는 주변대학(장안대,협성대,한국농업대,수원과학대)를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공간이면서 수원대와 도시 공간을 연결해 주는 사이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서 적극적인 캠퍼스의 도시 안으로의 확장을 통한 수원대학교의 캠퍼스 문화/기능과 도시의 문화/기능을 융합 시킬 수 있는 주요공간으로서 대학과 도시의 융합의 방법으로 대학 가로공간의 순환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 가로공간에 도시와 대학을 연결시켜주는 평면적 순환동선을 형성시키고 순환동선의 수직적 볼륨화를 통해 순환체를 형성하게 되고 순환체 축의 확장을 통해 생성되는 보조 Path를 통해 적극적으로 가로공간을 연결하게 된다.

Path에 의해 생성된 Node Point에 대학 캠퍼스의 기능과 대학문화의 프로그램 Box, 도시의 상업컨텐츠 프로그램 Box와 순환체로의 동선유도를 위한 이벤트 Box를 삽입하여 대학과 도시를 Link 시켜 새로운 흐름을 유도하게 되고 이에 융합되어 만들어지는 새로운 대학 도시문화를 창출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이처럼 대학과 도시는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 연계성을 갖는 일체화된 개념으로서 대학 캠퍼스의 경계를 구분하였던 종전의 개념을 탈피시키는 순환체 가로공간을 통해 도시속의 대학, 대학속의 도시를 같은 ConvergencyUrban Campus를 제안한다



6132eb4d4c17c63d88badf4d6ec5ff32_1635727722_1005.JPG
 


6132eb4d4c17c63d88badf4d6ec5ff32_1635727728_8201.JPG
 


6132eb4d4c17c63d88badf4d6ec5ff32_1635727737_1584.JPG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