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0 우리, 골목에서 만나요

본문

HBC Alley House

김성령 / 세종대학교



우리 동네 해방촌, 맞나요?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남산 아래 마을은 해방과 더불어 형성되었다 하여 '해방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방 이후에는 월남민과 상경민의 삶의 터전이었으며, 현재는 청년과 외국인 등 다양한 계층의 대안적 삶의 장소가 되었다. 경사지라는 지형적 특징과 소규모 건물들은 해방촌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골목을 만들었다. 그로 인해 이태원과 경리단길에서 확장된 상권이 해방촌까지 유입되었고, 이색적인 분위기로 젊은 세대들에게 '핫한 동네'가 되었다. 하지만 외부인들의 잦은 방문으로 동네가 관광지화되고 주민들을 위한 공간이 사라지면서 정작 '우리 동네'의 경계는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더불어 거주민의 고령화와 이주민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는 해방촌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성을 포용한 공간이 필요해졌다.


골목길을 통한 만남과 사회적 관계 형성

현재 해방촌은 골목 상권을 살린다는 명목하에 가게 앞길이 사유화되면서 골목의 공공성이 사라지고 있다. 골목길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도로'의 역할도 하지만, 이웃들이 함께 쓰는 우리 동네 '거실'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이제는 잊혀진 골목의 사회적 역할을 되찾기 위해 채워져 있는 '공간'보다 비어 있는 '골목길'에 초점을 맞추고, 그 빈 공간을 물질적인 것이 아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로 채우길 원한다.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이 사는 우리 동네 해방촌에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주기적으로, 하지만 부자연스럽지 않게 마주치고 머물고 모이게 되는 '골목길'을 담은 공공건축이 필요하다. 골목은 복잡하고 헷갈리지만 결국 하나의 길로 이어지며, 복잡함 속에서 다양한 이벤트들이 일어난다. 이런 골목의 특징을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 매스를 엇갈리고 비워 빈 공간을 만들고 그 사이들을 연결했다. 하나의 ‘건물’이 아닌 길을 걷다 마주치는 ‘공간’들로 인식되길 원했고, 경사지인 사이트를 어느 레벨에서나 연결되게 만들어 실제 우리 동네 골목길이 건물 안으로 들어와 있는 느낌을 연출하였다.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5999_826.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32_179.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33_9372.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36_6803.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39_1378.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42_0105.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45_178.JPG

2d724e558b817d6a872cfd7276981cb8_1618216049_7171.JPG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