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0 유휴교실 속으로 스며든 동네
본문
Soak into School
이건재 유하연 주현성 / 중앙대학교
-유휴 교실의 생활 SOC화를 통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상생 거점 만들기-
School Issue_학생 수 감소로 인한 도시 문제
현재 학교는 낮아지는 출산율로 학생 수가 감소해 많은 문제를 겪고 있다. 10년 전 대비 30%, 20년 후 서울 33.6%(전국 27.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학령인구가 감소한 도시에서 유휴 교실은 점점 늘어나,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이전, 폐교하는 사례가 늘어갔다.
하지만, 기존에 다니던 학생을 버려둔 채 이전하거나 폐교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따라서, 줄어드는 학령인구에 학교가 죽어가지 않고 지역사회 속에서 거점 커뮤니티로서 공생해 다시 숨 쉬는 미래의 학교를 고민해야 할 때이다.
Why Share_학교의 잠재력
학교는 도시 속에 필요한 공간을 담아 퍼트릴 수 있는 운반체로써 좋은 잠재력을 가진 건축물이다.
-균일한 분포:도시 속에서 1~1.5km 정도 간격으로 균일하게 분포
-도심 속 열린공간:고층, 고밀화되어가는 도시 속 넓은 열린공간의 저밀 한 공간
-입지적 장점:생활권에서 접근하기 좋은 중심의 입지
이렇듯 학교는 동네에 보이지 않는 생활권 네트워크를 형성시키고 도심 속 오아시스이자 마당이 될 수 있는 도시ㆍ건축ㆍ인문적 잠재력을 가진다. 따라서 마을의 거점 공간으로서 잠재력을 가진 학교가 스스로 담을 만들어 고립된 채 죽어가 학생은 학교를 잃고 주민은 마을의 마당을 잃도록 방치해선 안 된다.
How to Share_유휴 교실 속으로 스며든 동네(생활 SOC X 학교 공간)
유휴 교실에 생활 SOC 공간을 침투시켜 학생과 주민의 공간을 다양하게 섞이게 하여 결합한 학교는 마을 사람 모두를 위한 새로운 거점 커뮤니티로, 기존의 폐쇄적 공간에서 다양한 이벤트가 일어나는 동네의 열린 마당이 된다. 또한, 이러한 한 학교의 변화가 다양한 학교로 확장되어 도시에서 학교가 가지는 가치가 학생을 위한 폐쇄적 교육 공간에서 모두를 위한 동네 거점 커뮤니티 마당으로 변화, 확장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마을과 학교가 동네의 마당으로 공생해 살아가는 함께 사는 동네의 PROTOTYPE이다.
심사평
- 이전글나루유수지, 사람이 머물다 21.03.29
- 다음글신곡보이기때문에 보이기 시작했다 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