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5 낙후된 자폐공간, 사회적 담화공간으로서 재생모델 제안

본문

굳어버린 벽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견고한 것만큼 변하기 힘든 것은 없다. 이는 스스로 우리의 삶의 공간을 변화시킬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낙후된 자폐 공간, 사회적 자생공간으로서의 재생모델 제안이다. 현재 자폐공간으로 남아버린 많은 아파트단지는 많은 부작용과 함께 도시의 건강성을 해치고 있고 도시 속에서 지우는 것만이 해결책인 현재. 우리는 이제 다시 한 번 원점으로 돌아가, 남아있는 아파트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볼 때가 되었다.

 

기존 리모델링 방안은 신 구조체의 하중이 기존 건물에 가해지지만 이러한 방식은 낙후된 아파트와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였고 이에 기존 건물에 하중을 가하지 않는 자립형 구조체를 생각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진적 확장 및 분화 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저층부 공용 공간 프로그램으로는 공실률의 증가에 따른 잔여 공간을 공용공간으로 둠으로써 아파트 단지의 자폐공간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아파트단지의 저층부를 도시에서 요구되는 프로그램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기존에는 지상 층에 배치되어있던 주차장을 아파트 1층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주차장이었던 지상 층은 도시를 위한 자생적 공간이 된다. 이곳 에는 공동텃밭, 시장, 놀이터, 공원 등이 위치하며, 아파트의 저층부에는 보육시설, 상업 시설, 노인시설, 프로그램이 위치한다. 이는 프로그램간의 연계성에 따라 배치시켰으며 자생적 공간은 자생모듈에 의해 생활자가 점진적으로 완성시켜나간다. 아파트의 저층부와 자생적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도시 내 새로운 공공공간을 내어주고 도시회복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과 물리적 문제점들은 아파트단지가 우리가 당면한 문제점라는 것을 시사한다. 아파트가 더 이상 도시의 낙후된 자폐공간이 아닌, 새로운 회복의 가능성을 가지길 기대한다.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315_0674.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345_7993.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377_5801.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416_2451.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441_42.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1451_0722.jpg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