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5 빼앗긴 들에 찾아온 봄_상방동 선광구조물을 통한 재생방안

본문

* 프롤로그

경산시 상방동은 1317년부터 경산현의 읍성으로 마을의 중심지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전쟁에 쓰일 무기를 만들기 위해 코발트를 선광하는 아픔의 장소로 전락하게 되었다. 깊은 역사를 가진 마을의 모습과 일제 강점기의 자원수탈과 노동력착취의 아픔의 상반된 모습들을 함께 담으며 일제 강점기 아픔과 완전한 이별을 위한 자생적 아이디어를 더한다. 그랬을 때 장소가 갖고 있는 축적된 기억들이 드러나게 되고 시간의 깊이가 더해져서 시민들의 삶 또한 풍요로워지는 문화의 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 사이트

경산시는 현재 대구의 위성도시이자,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도농복합기능도시로 자생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며 시민들에게 자부심과 관심을 심어주어야 한다. 대구와 경산의 경계와 경산시내 도농의 경계에 위치한 경산시 상방동은 상반된 기억을 갖고 있다.

경산지역에서 가장 먼저 사람들이 정착해 거주하였던 것으로 전해지며 향교가 있던 곳의 의미를 가지는 상방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마을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마을의 모습을 먼저 갖추고 마을사람들이 모여 언제나 북적였던 상방동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자원수탈과 노동력 착취가 극심한 지역으로 변하게 된다. 사이트가 가지는 상반된 두 가지 기억은 현재에는 방치된 일제 강점기의 광산의 선광구조물만 묵묵히 기억하고 있다.

 

* 외부 공간 계획

일제 강점기 코발트광산의 선광시설인 선광장은 일반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시설로, 외부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의문을 갖고 접근하여 그 거대한 구조물이 가지는 깊은 역사와 기억을 알려주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외부 녹지계획은 일제에 의해 빼앗겨버린 들의 모습으로 구조물과 양옆에 위치한 녹지의 단절된 모습으로 경계를 두고 일부분은 잔디로 연결시켜 찾아온 봄의 모습을 남기며 이용객들에게 머무는 장소를 제공한다. 매스의 배치는 상반된 두 가지의 기억에 의해 두 가지 성격의 프로그램으로 나뉘게 되고 녹지의 수평적 단절이 있었다면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아래쪽과 위쪽에 배치함으로서 구조물에 의한 수직적 연결을 계획하였고 위쪽 매스는 경사의 대지에 매스를 일부 삽입함으로서 구조물과 하나의 풍경을 조성하였다.

* 프로그램

마을의 모습을 담고 마을이 갖고 있는 깊은 역사를 드러내며 사이트를 찾는 사람들에게 마을을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마을 텃밭체험과 코발트를 나타내는 색인 쪽빛 염색체험, 마을에 많이 분포하는 연령층을 위한 어린이 도서관과 노인정을 마을과 가깝게 위치한 곳에 계획하였다. 구조물 위쪽에는 일제 강점기 당시의 모습을 알리기 위한 일제 강점기전시와 광산전시, 경산의 역사전시를 배치하여 구조물을 통해 마을의 북적이는 분위기를 환기시키며 전시장으로 향할 수 있게 하였다.

 

* 내부 공간 계획

광산의 선광공정을 전시의 공간으로 공간화하여 전체적으로는 큰 하나의 매스 안에 작은 요소들로 구성되고 전시 공간의 측면으로는 새로운 전시의 유형을 제시하게 된다. 무게감있는 공정의 공간들 사이에 쉬어가며 환기시키는 자연과 가까운 공간들을 삽입하여 전시를 경험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스런 관람흐름과 멈춤시간을 제공한다.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45_1886.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56_7675.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62_6574.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68_4596.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74_3907.jpg
 


b5b6ec80169329dd5c3a5327ae08aa52_1635384680_3315.jpg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