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12 문래예술공단

본문

Walking on the Urban Canvas 문래 예술 공장 - 기세호 이진경

불균형 도시


현재 서울에 있는 예술(,)의 생산이 일어나는 공간은 바텀-(bottom-up)적으로 예술가들이 스스로 만든 '자생적'공간과 탑-다운(top-down)식으로 '조성된'공간이 있다.

이런 공간이 바로 창작활동의 모태가 되는 장소이지만, 도시와 소통하지 못해 점차 서울의 외곽으로 점점 밀려나고 있고 생산의 공간이 밀려남에 따라 도시 속에는 획일적인 소비의 공간만이 남게 되었다.

사이트로 선정한 서울의 마지막 예술가들의 자생적 창작촌이 있는 문래동은 기존의 공장지대와 급격히 들어선 아파트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도시가 되어가고 있다.

화이부동 symbiotic diversity

그러나 문제는 상이한 성격의 공간-생산의 공간이나 소비의 공간 자체-가 아니라 이들을 도시와 만나게 하는 접점에 있다. 급격히 개발되고 있는 서울 어딘가에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공간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이곳이 단지 작품을 만들어 내기만 하는 곳이어서는 안 된다. 도시 속에서 생산의 공간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만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새로이 제안하는 공간은 자생적 창작촌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긍정하되, 이미 자체의 메커니즘을 가지고 충분히 작동하는 창작촌 자체에 개입하기 보다는 이들이 도시와 만날 수 있는 접점들을 만들어 주는데 중점을 두었다. 단계적 변화를 고려한 마스터플랜을 통해 문화적 버퍼공간으로 작동하면서 도시 전체를 아우르는 매개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고, 문래예술공단 지역은 구체적인 개입을 통해 문화적 거점의 역할을 하게끔 했다. 공장건물의 1층은 여전히 활발하게 철공소의 작업장으로 이용되지만, 2,3층은 예술가의 작업실로 쓰이며, 상당수의 옥상들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옆 건물로 이동이 가능하다. 단지 입구의 거점시설과 철공소 사이의 틈새건물는 전시, 작업을 위한대공간을 제공하고 단지 전체를 연결하는 캣워크를 통해 마치 거대한 도시의 캔버스 위를 걷듯 아래쪽의 작품들과 옥상 면의 그림들, 그라운드레벨의 철공소 작업장의 풍경을 감상하며, 옥상 전시에 참여한다.



90d1fece1d65251fe2118100c4fda235_1635488649_0999.jpg
 


90d1fece1d65251fe2118100c4fda235_1635488659_3963.JPG
 


90d1fece1d65251fe2118100c4fda235_1635488665_1804.JPG
 


90d1fece1d65251fe2118100c4fda235_1635488671_4362.JPG
 


심사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