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021 겹침

본문

현재 우리는 코로나로 인해서 생활반경은 줄어들었고, 현재의 공간들은 우리의 생활을 충족 시켜주지 못하는 공간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로 인해 충족되지 못한 우리의 영역은 디지털 영역으로 생활반경이 확장되어 우리의 생활을 공유하고 소통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로 넓혀진 생활반경으로 인해 많은 공간은 비워져야만 했고 , 학교 역시 코로나 상황에 별 다른 대처를 처하지 못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학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철저하게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교실의 기능은 비대면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온라인과 등교 수업은 병행되었습니다. 궁극적으로 학생들과 교사가 성취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는 결국 집에서 할 수 없는 수업들이 되었고, 현 상황에서 학교는 달라져야 했고 그 역할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학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까요?


제가 제안하는 첫 번째 개념은 학교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위한 공간을 가져야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개인의 공간에 대한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공간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커지는 것 과 같이 한 학급이 수행해야 할 과제 역시 확대되었고, 크기 또한 커져야합니다. 한 학급은 지도자의 지식을 전달받는 공간이 아닌 학생들끼리 서로 배우고, 개인 맞춤 환경이 제공되는 공간이 됩니다. 한 학급당 제공되는 야외공간은 집에서 할 수 없는 체험형 수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됩니다. 한 학급은 각 학년에 맞는 특성에 맞춰 야외공간과 각 실들이 배치되며 실들 은 지금과 같은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한 대응형과 언제든지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일상형의 가변성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제가 제안하는 두 번째 가능성은 유휴 공간 활용입니다. 학생들의 시간표에 따라 비워 지는 시간이 존재하는 과학실, 미술실 등 과 같은 공간은 지역주민들의 또 다른 경험의 공간이 될 것입니다. 학생들이 아닌 교실 자체가 시간표를 가지게 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추어 사람들은 시간표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눠 지지만 디지털 영역에서 이는 공유되고 소통됩니다. 이전과 같이 온전히 공간 속에서 함께 소통되지는 않지만 그 영역은 디지털로 넓혀 , 다양한 경험을 공유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두가지의 제안은 철저히 시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공간이 가지는 시간표는 가변형 벽의 움직임을 뜻하며 유연한 공간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고 ,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지게 됩니다.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51_8316.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58_8569.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63_916.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69_7758.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75_1356.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80_7299.jpg
 


65d5eb5a02871fd05cf003bc107c9f7b_1635905585_4171.jpg
 

심사평

목록